SPI 2

Flash 제어 및 동작 방식

MCU나 SoC에서 외부 NOR/NAND 플래시를 제어할 때 어떤 명령어 흐름으로 동작하는지에 집중해서 정리한다. 아래는 일반적인 SPI NOR Flash 기준이지만, NAND나 병렬 NOR에서도 기본 개념은 유사하다.⸻Flash Device는 레지스터 기반이 아닌, 명령어(command)를 SPI 또는 병렬 버스를 통해 전송해서 제어한다. 따라서 플래시를 제어하려면 특정 커맨드 시퀀스를 정확히 따라야 한다. 각 동작별 기본적인 명령 흐름은 다음과 같다.⸻1. 읽기(Read)목적: 특정 주소에서 데이터를 읽는다.시퀀스:[READ CMD] + [ADDRESS] → [데이터 수신] • 일반적인 커맨드: 0x03 (Standard Read), 0x0B (Fast Read) • 입력: 3 or 4바이트 주소 •..

임베디드 2025.04.17

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의 이해

임베디드 시스템과 마이크로컨트롤러(MCU)에서 주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에서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는 높은 속도와 간단한 구조를 가진 직렬 통신 프로토콜로 널리 사용된다. 이번 글에서는 SPI의 기본 개념, 동작 방식, 그리고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보자.⸻1. SPI란 무엇인가?SPI는 풀 듀플렉스(Full-Duplex) 방식의 동기식 직렬 통신 프로토콜이다. 1980년대 Motorola에서 개발한 이 프로토콜은 센서, 디스플레이, 메모리 등의 주변 장치와 마이크로컨트롤러 간의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SPI의 특징 • 클럭 신호(Synchronous Clock) 기반 통신 • 마스터-슬레이브 구조 • 풀 듀플렉스 전송 가능 •..

임베디드 2025.03.11